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Spring boot
- reclaim
- 127.0.0.53
- CoreDNS
- linux dns
- L2 통신
- k8s
- PV
- 내일배움카드
- linux domain
- 메가바이트스쿨
- systemd-resolved
- DNS
- Layer 2
- 국비지원교육
- PVC
- L2 통작
- MegabyteSchool
- RDB
- 패스트캠퍼스
- ssh tunneling
- MariaDB
- 개발자취업부트캠프
- ARP
- dns forward
Archives
- Today
- Total
hoonii2
[SpringBoot] Local Spring Boot 에서 SSH Tunneling 을 통한 원격 서버 MariaDB 접근 본문
개념 공부/(개발) 02. Spring Boot
[SpringBoot] Local Spring Boot 에서 SSH Tunneling 을 통한 원격 서버 MariaDB 접근
hoonii2 2023. 2. 10. 16:11
1. 환경
- 원격 서버
- Open 된 포트는 SSH 만 허용 ( Maria DB 는 외부에 Open 되거나 Port Forwarding , NAT 등의 설정이 되어있지 않음 )
- SSH 접근은 RSA 방식으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상황
- Docker 를 통해 MariaDB 구성 상태
- Local 서버
- Spring Boot 에서 위 원격서버의 MariaDB 에 접근하고 싶음
2. SSH Tunneling 사용 이유
- 원격 서버로 SSH Local Tunneling 방식을 사용하여 MariaDB 접근
- SSH 패킷 안에 MariaDB 접근 ( 3306 ) 을 감싸 통신이 가능하도록 수행
- 외부에 MariaDB 를 접근가능하게 설정되지 않고 SSH 인증이 우선 수행되어야 하므로 보안성 강화
3. 사용 방법
- "-p" = ssh 접근이 허용된 포트번호 작성 ( 기본인 22를 사용한다면 작성 X )
- "-L" = Local SSH Tunneling 방식 사용 ( Remote 방식도 있는데 , 제가 이해하기론 SSH 접근한 서버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Local 사용 )
- "9091:127.0.0.1:3306" = localhost:9091 접근을 SSH 터널링으로 감싸 원격 SSH 서버의 localhost:3036 서비스에 연결 수행
- 그 뒤는 SSH 접근 정보를 작성해줍니다.
4. 결과
- SSH Tunneling Session 활성화 유지
- Spring Boot 에서 mariadb 접근 시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
( 외부에 Open 되지 않은 서비스이고 RSA Key 를 갖고 Tunneling 을 수행해야만 접근이 가능하기에 공개되어도 무관 )
- 정상 접근 및 JPA 를 통한 Table 생성 확인
'개념 공부 > (개발) 02.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Boot] JMeter 를 활용한 간단한 API 트래픽 테스트 (0) | 2023.02.28 |
---|---|
[SpringBoot] 05. Lombok (0) | 2023.02.03 |
[SpringBoot] 04. RequestParam vs RequestBody vs ModelAttribute (0) | 2023.01.27 |
[SpringBoot] 03. Object Mapper (0) | 2023.01.20 |
[SpringBoot] 02. Properties (0) | 2023.01.13 |
Comments